- Home
- R&D
R&D
주요 파이프라인
비대흉터
• 진피층의 콜라겐이 과다하게 증식하여 결정형태로 튀어나오는 것으로 통증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자신감 상실 및 대인기피 등의
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함
• 현재까지 난치성 비대 흉터를 치료하는 제품으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제품은 없음
• 흉터의 생성 기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흉터 생성을 억제하는 치료제가 개발될 경우, 기존 치료제와의 경쟁에서 수월하게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
-
비대흉터
-
켈로이드
흉터 치료제 시장
• 세계 비대흉터/켈로이드 흉터 치료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63억 달러, 2025년까지 약 100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됨
(출처: Grand View Research 2020)
메커니즘
• 흉터 억제 표적 유전자 -연결 조직 성장인자 (Connect Tissue Growth Factor, CTGF)

개발현황
• 동물모델에서 효과적인 섬유화 억제 확인
• 휴젤에 아시아 판권 기술이전(2013.11.01)
•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논문발표(비임상효력시험)
• 자체개발 RNA 간섭치료제 아시아 최초 임상 1상 종료 (2018.05.16), 국내 2상 임상시험 계획(IND) 승인 (2018.11. 휴젤 진행)
• 미국 2상 임상시험 계획(IND) 승인 (2020.10.)
• 한국 · 미국 2상 임상시험 진행
정부과제 선정
•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선정

2014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제 선정 및 성공종료(비임상 시험)
2018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제 선정 (영국 1상 임상시험 및 미국 2상 IND)

2014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제 선정 및 성공종료(비임상 시험)
2018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과제 선정 (영국 1상 임상시험 및 미국 2상 IND)
논문발표
• Hwang, J., Chang, C., Kim, J. H., Oh, C. T., Lee, H. N., Lee, C., Oh, D., Lee, C., Kim, B., Hong, S. W., & Lee, D. K. (2016). Development of
Cell-Penetrating Asymmetric Interfering RNA Targeting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.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,
136(11), 2305-2313.